운반한 폐수를 집수조 저장하기 전에 구경 650, 재질 SUS304, 2mm mesh 타입의 드럼스크린에 폐수를 통과 시켜 토사, 비닐류, 부유협잡물 등을 제거하여 공정내 펌프 및 배관설비 보호.
1차 화학적 처리공정
- 1차 처리에서 중화ㆍ혼화ㆍ응집공정에 중화제 와 무기응집제, 고분자응집제를 촉진하여 고액분 리 침전시켜 증발농축의 처리효율을 높임
- 2차처리에서 증발농축처리 이후 증발된 응축수 에 TOC, T-N, 유분 등 일부 넘어온 저비점 난분해 성 오염물질을 후단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유기물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오염물질을 제거.
슬러지 탈수처리
침전조에서 폐수와 분리된 슬러지 함수율은 98% 로서 농축조에서 무기응집제 (황산제이철, 황산알 루미늄 등)를 투입하고 pH 4~5로 조정하여 탈수 가 용이하도록 개량한 후 에어펌프(Air operated diaphragm pump)를 이용하여 슬러지케잌 함수 율 60~70% 수준으로 탈수하여 매립장으로 반출.
진공감압증발농축
다단증발농축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물의 끓는 점 은 100℃인데, 진공으로 감압을 할 경우, 끓는점은 60℃로 낮아지게 되는 감압 원리를 이용하여, 물의 끓는 점을 낮춰서 원폐수를 고농축 하는 방식으로 증발농축처리 후 오염물질 농도는 COD 80~90%, 중금속 90~99% 제거하는 고농도폐수처리의 핵심시설.
건조처리시설
증발농축을 통한 잔류물은 건조기를 통하여 함수 율 20%이하로 건조시켜 부피를 줄이고, 최종 잔 류물인 슬러지는 매립처리를 하고있음.
가압부상시설(용존공기 가압부상법 DAF (Dissolved Air Flotation))
흡착조, 반응조, 중화조, 응집조를 거쳐 가압부상 조에서 평균 입경 80㎛의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 켜 부상조 내부에서 처리수와 오염물질을 분리하 여 오염물질은 슬러지 농축조로 보내지고 처리수 는 무산소조로 이송됨.
생물학적 처리
증발농축 및 2차 화학처리 이후 폐수 내 잔류하 는 유기물질 및 질소, 인 등의 오염물질을 최종적 으로 처리하기 위해 미생물 개체수 지표인 MLSS 를 10,000mg/L 유지하고, 수리학적 체류시간 (HRT)을 10일 이상하여 유기성 오염물질을 99% 이상 제거.
MBR(Membrane Bio Reactor) 등 막여과처리
0.4㎛ 이하 공극의 여과막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처리시설 후단에 생물학적 침전조를 대체하여 침 지식으로 막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MBR 분리막 처리수의 SS농도는 10mg/L 이하, 부유고 형물 TOC, T-N 90~99% 제거효율을 나타냄